22년 지게차운전기능사 시험일정 및 합격률
지게차운전기능사 자격증은 최근 5년 동안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연평균 8.6%씩 증가하며 인기상승 중입니다.
최근 시험트렌드 및 기본정보, 접수인원 및 합격자현황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ㅁ 5개년 합격률 분석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률은 60.4%, 실기 합격률은 48.7%입니다
- 최근 5개년 접수 남자평균은 176,335명, 여자평균은 4,316명으로 남자가 전체 응시자 중 98%, 여자가 전체 응시자 중 2%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46,790명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12,964명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40대로 10,104명입니다
ㅁ 개요
- 필기시험의 내용은 고객만족>자료실의 출제기준을 참고바랍니다.
- 지게차에 대한 기술 지식과 숙련된 운전기능을 갖추어 각종 건설 및 물류 작업에서 적재, 하역, 운반 등의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공개문제 참조)
ㅁ 시험 접수인원 분석
ㅇ 필기
- 필기 접수인원 17년 97,455명, 18년 101,705명, 19년 101,705명, 20년 105,252명, 21년 122,244명입니다
- 17년부터 21년까지 필기 접수인원 평균은 105,672명, 연평균증가율 5.8%입니다
ㅇ 실기
- 실기 접수인원 17년 75,149명, 18년 69,401명, 19년 90,792명, 20년 90,206명, 21년 118,176명입니다
- 17년부터 21년까지 실기 접수인원 평균은 88,745명, 연평균증가율 12.0%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15,720명(전체 응시자 중 8%), 20대 평균은 46,790명(전체 응시자 중 24%), 30대 평균은 45,800명(전체 응시자 중 23%), 40대 평균은 43,289명(전체 응시자 중 22%), 50대 평균은 35,271명(전체 응시자 중 18%), 60대이상 평균은 10,220명(전체 응시자 중 5%)입니다
ㅁ 합격자 분석
ㅇ 필기
- 필기 합격자수는 17년 42,655명, 18년 45,994명, 19년 52,446명, 20년 59,864명, 21년 72,818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54,755명입니다
- 필기 합격률(%)는 17년 52.3%, 18년 54.4%, 19년 55.4%, 20년 68.0%, 21년 71.8%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60.4%입니다
ㅇ 실기
- 실기 합격자수는 17년 33,339명, 18년 31,756명, 19년 41,156명, 20년 42,602명, 21년 54,392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40,649명입니다
- 실기 합격률(%)는 17년 47.0%, 18년 48.3%, 19년 48.5%, 20년 50.3%, 21년 49.5%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48.7%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3,415명(전체 응시자 중 6%), 20대 평균은 12,888명(전체 응시자 중 24%), 30대 평균은 12,964명(전체 응시자 중 24%), 40대 평균은 12,733명(전체 응시자 중 23%), 50대 평균은 10,061명(전체 응시자 중 18%), 60대이상 평균은 2,694명(전체 응시자 중 5%)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2,243명(전체 응시자 중 6%), 20대 평균은 8,677명(전체 응시자 중 21%), 30대 평균은 9,729명(전체 응시자 중 24%), 40대 평균은 10,104명(전체 응시자 중 25%), 50대 평균은 7,844명(전체 응시자 중 19%), 60대이상 평균은 2,052명(전체 응시자 중 5%)입니다
ㅁ 기능사(상시) 시험일정은 각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아래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http://www.q-net.or.kr/crf021.do?id=crf02101&gSite=Q&gId=&tabGb=sang
국가기술자격(상시) 시험일정 | Q-net
www.q-net.or.kr
ㅁ 시험과목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전문계 고등학교 등의 특수장비과 대학
③ 시험과목
- 필기 1. 지게차 주행 2. 화물 적재 3. 운반 4. 하역 5. 안전관리
- 실기 : 지게차운전 작업 및 도로주행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4분 정도)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작업형 실기시험 기본정보 | ||
안전등급(safety Level) : 4 등급 | ||
|
ㅁ 진로 및 전망
- 주로 각종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토목공사업체, 건설기계 제조업체, 금속제 품 제조업체, 항만하역업체, 운송 및 창고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시·도 건설사업 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운반용 건설기계는 건설 및 제조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지만, 그 밖의 산업부문에서도 활용된다. 때문에 건설, 제조업 및 산업전반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최 근 IMF관리체제 편입이후 경기하락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지만, 점차 회복세로 돌아서 면서 건설기계운전인력도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건설부문의 경우 다른 업종에 비 해 회복이 더딘 편이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고속철도, 신공 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등에 의 해 꾸준한 발전이 기대된다. 또한 수출부문도 빠른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항만하역 분야의 운반용 건설기계운전인력의 증가가 기대된다. 동시에 유통구조의 기계화와 대형화에 따른 기능인력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참고로 지게차 등록현황을보면 IMF 관리체제 하에서 극심한 경기위축을 나타낸 1998년 제외하면 1993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였다. (등록대수 1993년 43,946대, 1994년 47,040대, 1995년 53,140대, 1996년 58,844대, 1997년 63,192대, 1998년 62,764대 임). 또한 가동률 도 점차 높아지고 있어 고용증가가 기대된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미용사(일반) 시험일정 및 합격률 (0) | 2022.06.14 |
---|---|
22년 한식조리기능사 시험일정 및 합격률 (0) | 2022.06.14 |
주거복지사 시험일정 및 필기 실기 시험 합격률 (0) | 2022.01.23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시험일정 및 필기 실기 시험 합격률 (0) | 2022.01.22 |
데이터분석전문가 시험일정 및 필기 실기 시험 합격률 (0) | 2022.01.22 |
댓글